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7] 복습할 때 뭐부터 써야할지... 기억이 안 납니다...(with. 좋은 강의란)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는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서 강의 외적으로도 정말 많이 배워가고 있습니다. 강의를 시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질문1

이건 강의 외적인 질문이지만

1. 복습할 때 요양급여에 대해서 써보라고 하면 쓸 수 있는데 모든 강의를(하루치) 듣고 난 후 복습하려고 하면 뭐부터 얼마나 써야할지 기억이 안 납니다...

어느 정도 수준으로 얼마나 써야 할까요? (얼마나 큰 목차부터 어디까지 디테일하게 / 분량은 어느 정도 나눠서 써야 할까요?

 

답변1

1. 1차 시험을 목표로 하는 상황이라면, “책을 덮고 백지에 쓰는 단계까지 갈 필요는 없습니다. 책을 보고 정리하고, 판서를 보고 정리하는 정도 만으로도, 1차시험 대비는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제가 생각하는 공부의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단계- 강의 듣기- 1배속할 것, 집중하여 맥락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할 것.

2단계- 강의 종료 후, 법령집 읽기- 정독할 것, 한국어 대사전 참조할 것.

3단계- 법령집을 읽으며, 사진찍은 판서를 보며, “조문 제목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노트에 정리하기- 이때 노트에 정리한 내용이 제가 판서한 내용과 일치해도 무방하고, 전혀 달라도 무방합니다.

저는 을 분리하여 각각 수행하시길 권합니다만, 시간관계상 이를 동시에 수행해도 무방합니다.

4단계- 에서 정리한 노트를 한손에 들고 슬쩍슬쩍 보면서, 동수에게 강의하기- 이를 면벽수행이라 부릅니다.

5단계- “정리한 노트의 내용을 안보고 백지에 쓰기

 

(2) (1)의 내용은, “7회독 공부법1차 버전입니다.

[7회독 공부법] https://victor6115.tistory.com/73

 

질문자님이 힘들다고 말하는 책을 덮고 백지에 쓰는 단계‘5단계의 내용입니다. 5단계는 2단계부터 시작하여 3단계를 거처 4단계를 수행한 이후에야 비로소 5단계를 도전해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단계를 건너뛴다면 분명 다음 단계를 수행하는데 상당한 무리가 따를 것입니다.

 

1차 시험 합격이 목표라면 3단계까지만 해도 충분할 것이라 판단합니다.

4단계와 5단계를 수행하신다면, 분명 실력은 많이 성장할 것입니다. 그러나, 질문자님도 알다시피 사회보험법은 2차 시험과목이 아니니, 3단계까지만 하셔도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할 것입니다.

헌데, 사회보험법에서 4단계와 5단계를 훈련할 수 있다면, 이러한 훈련은 2차 시험 공부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질문2

2. 선생님께서 왜? 왜 그런걸까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보라고 해주셨는데, 보통 왜에 대한 질문의 답은 어디서 찾나요?

 

답변2

1. 법학에서, 보통 왜?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교수님 저서에서 찾습니다. 저는 이를 기본서라고 부릅니다.

[72. 기본서로 공부하시길 권합니다] https://victor6115.tistory.com/74

 

(1) ?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기본서에 활자로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행간에 숨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제의식을 품고 기본서를 읽다보면 행간에 숨어 있는 의미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질문3

어떤 강의를 골라야 할까요? 저와 핏이 맞는 강의를 골라야 하나요? 아니면 공부는 결국 혼자해야하니, 교재가 훌륭한 강의를 골라야 할까요?

 

답변3

학습을 위해서는 배경지식이 중요합니다.

[‘배경지식은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https://victor6115.tistory.com/63

 

(1) 배경지식이 중요하다는 말은, 배경지식이 있으면 뭐... 쪼금 더 도움이 된다... 라는 말로 받아들이면 곤란합니다^^

우리 브레인은 배경지식이 없이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 브레인은 새로운 지식을 저장할 때 새로운 지식과 가장 유사한 기존 지식에 이를 배치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식으로 기억을 만듭니다. 따라서, 새로운 지식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없다면, 우리 브레인은 그 새로운 지식을 저장할 수 없게 됩니다. 이것이 학원 강의(새로운 지식에 대한 학원 강의)가 휘발성이 강한 이유입니다.

 

(2) 제가 생각하는 좋은 강의는,

[이런 측면에서 저는 좋은 강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기본서가 담고 있는 교수님의 사고 체계를 전문 용어가 아닌 일반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해주는, 설명을 아주 잘 해주는 강의.] https://victor6115.tistory.com/65

 

제가 생각하는 좋은 강의는, 기본서(교수님 저서)를 잘 설명해주는 강의, 배경지식을 많이 설명해주는 강의, 강의 수강 후 기본서를 스스로 혼자서 읽어 나갈 수 있도록 나를 성장시켜주는 강의...이것이 제가 생각하는 좋은 강의입니다.

 

도움이 되시길..